목록HTML_CSS_JS (4)
gpffh1011
background: -webkit-gradient(linear, left top, left bottom, from(#16161d), color-stop(#1f1f3a), to(#3b2f4a)); background: linear-gradient(#16161d, #1f1f3a, #3b2f4a); 그라데이션을 넣기 위해 이곳저곳 서치를 하다 webkit을 시작으로 ms, o, moz 라는 접두어를 처음 만났다. 이 접수어들은 CSS 와 브라우저 간 호환성을 위한 도구 라고 보면 된다. 접두사를 밴더(밴딩) 프리픽스 라고 하며, 각 브라우저와의 호환성을 목적으로 밴더 프리픽스 접두어를 붙이는 것을(=마크업하는것을) 크로싱 브라우저(Crossing Browser) 라고 한다. 이 접두어는 위의 코드 처럼 쓰려..

플렉스는 플랙스 컨테이너와 플랙스 아이템으로 나뉜다. 플랙스 컨테이너(flex container)는 여러 개의 플랙스 아이템을 포함한 부모 역할을 한다. 박스의 방향(flex-direction)과 박스가 다음 줄로 넘어가는 방식(flex-wrap)을 정한다. 그리고 자식요소인 플렉스 아이템을 정렬(align-item, justify-content)하는 것이 플렉스 컨테이너의 역할이다. - 종류 : flex-direction / flex-wrap / align-items / justify-content /align-content 플렉스 아이템(flex items)은 플렉스 컨테이너 안에 위치하면서 박스 하나 하나의 모양을 결정한다. 박스의 크기(flex-basis)와 그 크기가 변경되는 방식(flex-gr..
CSS의 display 속성에는 block, inline, inline-block 가 있다. block inline inline-block 너비 한줄 font-size에 맞춰 최소값 font-size에 맞춰 최소값 높이 font-size에 맞춰 최소값 font-size에 맞춰 최소값 font-size에 맞춰 최소값 줄사용 O X X block div 태그, p 태그, h 태그#, li 태그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. 기본적으로 가로 영역을 모두 채우며, block 요소 다음에 등장하는 태그는 줄바꿈이 된 것처럼 보입니다. 이는 word 같은 문서에서 문단을 표시할 때, 한 문단이 끝난 뒤에 나타나는 요소는 항상 다음 줄에 표시되던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. width, height 속성을 지정 할 수 있으며,..